사진에 있어 정확한 대상물에 대한 촛점, 그리고 빛을 이용한 적정 노출,
그리고 안정적이면서도 독창적인 구도는 사진을 깊이 배우고 싶지 않더라도 꼭 필요한 부분이라고 생각한다..
촛점을 맞추거나 노출조절을 하는 것이 실습을 통해서 확보되는 거라면
구도는 어느정도의 이론이 뒷받침 되어야 할 것 같아 읽어 보게 되었다..
이 책에서는 보편적인 구도 이론과 사례중심으로 초보자가 구도를 익히기에 좋았다.
사진의 완성도는 구도에서 좌우된다고 한다.
피사체의 독특한 형태나 패턴 색의 대비 같은 사진 요쇼를 짜임새 있게 배치하는 기술이 바로 구도이다.
하지만 사진구도는 초보자를 위한 가이드라인의 역활을 할 뿐 절대적으로 지켜야 하는 규칙은 아니다.
구도를 결정하는 3가지 기본 조건은 구도를 정할 때 촬영자는 표현하고자 하는 주제를 접목 시킬 수 있도록
시선을 끄는 힘을 줄 수있는 조건이 있는데
구성을 돋보이게, 주제를 명확하게, 화면을 단순하게 가 바로 구도를 결정하기 전에 만족시켜야 할 3가지 조건이다.
구도를 배우는 목적은 자신이 보았던 순간을 더 좋은 구성으로 안정적이며 아름답게 화면에 담아내기 위해
눈을 훈련하는 작업이다
우선 꼭 회피 해야할 구도극 Tip으로 싣어주엇다..
1. 수평 또는 수직선으로 화면을 양분하는 구도.
2.화면을 양분하는 대상(피사체)
3.명암의 극명한 대비.
4.단조로운 색의 조합: 두가지 색으로 대비
5.대상을 화면의 중앙에 배치하거나 신체의 일부가 제외된 사진
안정된 구도를 위한 공간 분할 법
1.좋은 구도의 암묵적 공식, 미술의 황금분할
이는 주제를 중앙보다는 약간 비껴 위치시키고 부제도 함께 담아 부제로 하여금 주제를 더욱 부각시켜주는 역할을 할 수 있도록하는 방법이다.
2.가로와 세로를 3분할 하는 삼분법
삼분할은 화면에서 가로 세러의 비율을 1/3로 나눈 후 교차점에 피사체가 들러가는 구도이다.
황금분할과 비슷하지만 간단하게 사진에 적용할 수 있는 구도이다.
황금분할을 단순화한 것이기도 하다.
풍경사진 촬영시
1.일출 일몰 ; 수평선구도, 대각선구도, 방사형구도등이 많이 쓰인다.
2.꽃 ; 대칭형구도, 중앙중점구도, 바둑판구도, 사선구도, 터널형구도, 수직선구도
3.계류나 폭포 ; 대각선구도, 삼각형구도, 사선구도, 곡선구오, 역삼각형구도, 터널형구도.
4.나무 ; 수직선구도, 사선구도. 대칭형구도
5.하늘과 구름 ; 곡선구도, 방사형구도, 사선구도. 구평선구도
6.산 운해 ; 수평선구도, 방사형구도, 사선구도, 대각선구도
7.바다 ; 수평선구도, 대각선구도 , 곡선구도. 중앙중점구도, 대칭형구도
8.초원 ; 방사형구도, 대각선구도, 수직선구도, 사선구도, 수평선구도.
9.호수, 늪 ; 대칭형구도, 수평선구도, 수직선구도, 사선구도
10.설경 ; 대각선구도, 사선구도,
11.야경 ; 대각선구도, 사선구도, 수평선구도, 바둑판구도, 곡선구도
12조류 ; 역삼각형구도, 수평선구도, 바둑판구도, 사선구도, 중앙중점구도,
13.곤충, 동물 ; 중앙중점구도, 역삼각형구도, 바둑판구도, 사선구도, 수평선구도, 수직선구도.
[출처] <사진 구도> 를 읽고|작성자 으으니
'사진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플래시 고속동조의 이해와 입문기의 X동조 (0) | 2014.01.27 |
---|---|
[스크랩] 불꽃사진 촬영기법-니콘코리아 (0) | 2014.01.27 |
[스크랩] 구도에 대해서(퍼옴) (0) | 2014.01.27 |
[스크랩] 인물사진 범위별 종류 (0) | 2014.01.27 |
[스크랩] 일출사진 잘 찍는 요령 (아마츄어) (0) | 2014.01.27 |